달구벌 알기/달서구 34

달서구 지명 유래 12 - 노는바위, 대천(大泉), 두류산(두류공원)

달서구 지명 유래 12 - 노는바위, 대천(大泉), 두류산(두류공원) 노는바위 소재지 : 달서구 파호동 산2번지 현 파호동 서편 금호 강변 절벽 위에는 큰 바위가 있다. 이 바위에 얽힌 이야기는 1500年 전 하늘의 선녀들이 내려와 금호 강물에 목욕하고 이 바위에서 쉬어 가곤 했는데. 범인들에게..

달서구 지명 유래 11 - 귀낙골고개, 기민고(飢民庫), 깨굼(외발뛰기)바위

달서구 지명 유래 11 - 귀낙골고개, 기민고(飢民庫), 깨굼(외발뛰기)바위 귀낙골고개 소재지 : 갈산동 산18번지 갈산동에서 대구로 넘어 가는 고갯길이 있다. 해방전후만 하여도 대구로 드나드는 지름길이었기 때문에 사람들이 많이 왕래하였다. 그런데 이 고개 왼편에 약 100년 전부터 내려..

달서구 지명 유래 8 - 진천동(辰泉洞), 파산동(巴山洞), 파호동(巴湖洞 : 파산), 호림동(狐林洞, 홀림동)

달서구 지명 유래 8 - 진천동(辰泉洞), 파산동(巴山洞), 파호동(巴湖洞 : 파산), 호림동(狐林洞, 홀림동) 진천동(辰泉洞) 진천동은 신라 달구화현(達句火縣)에 속하였고, 고려 때는 수창군(壽昌郡)에, 조선 선조 때 대구현 월배면에, 1914년에 오복동과 인흥면(仁興面)의 송정동(松亭洞)을 합하..

달서구 지명 유래 7 - 장기동(長基洞), 장동(壯洞 : 망정, 장골), 죽전동(竹田洞)

달서구 지명 유래 7 - 장기동(長基洞), 장동(壯洞 : 망정, 장골), 죽전동(竹田洞) 장기동(長基洞) 400여년 전에 구씨와 장씨가 마을을 개척하여 구씨, 장씨의 터라 하여 구장터라고 불렸다. 그 후 100년 뒤에 구씨는 패망하고 장씨가 마을을 이끌어 왔다고 하여 구자가 빠지고 장씨터라는 뜻의 ..

달서구 지명 유래 6 - 월암동(月岩洞), 유천동(流川洞), 이곡동(梨谷洞 : 仙源(선원마을)

달서구 지명 유래 6 - 월암동(月岩洞), 유천동(流川洞), 이곡동(梨谷洞 : 仙源(선원마을) 월암동(月岩洞) 이 지역은 대구부 조암면의 지역인데 1914년에 이리와 개상동을 합하여 조암의 아래쪽이 되므로 하동(下洞)이라 하여 달성군 월배면에 속하였다가 1957년에 대구시에 편입되면서 기존의..

달서구 지명 유래 5 - 용산동(龍山洞), 월배(月背), 월성동(月城洞)

달서구 지명 유래 5 - 용산동(龍山洞), 월배(月背), 월성동(月城洞) 용산동(龍山洞) 달성군 성서면에 속한 행정구역으로서 와룡산(臥龍山)밑에 위치하였기 때문에 용산동(龍山洞)이라고 불렸다.(용산동(龍山洞)과 용하동(龍下洞)으로 합침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으로) 용산동(龍山洞)은 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