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구지명유래 37 - 향교(鄕校) 향교(鄕校) 소재지 : 중구 남산동 735∼4 향교(鄕校)란 공자 등 유교에서의 선현을 모시고 그 가르침을 배우는 지방교육기관으로 서원, 서당 등의 사설 교육기관이 생기기 전인 고려때 이미 각 지방에 설립되었다 그러나, 향교는 이태조의 즉위와 함께 새로운 변모를 갖추게 되었다. 대구 ".. 달구벌 알기/중구 2012.03.20
중구지명유래 36 - 칠성바위 칠성바위 소재지 :중구 태평로2가 35번지 태평로 시민회관 앞 잔디밭에 높여 있는 칠성바위는 지석묘로 이것은 옛 공회당서남쪽 소나무 숲 사이에 있던 것이나 1973년 대구시가 광회당을 헐고 시민회관을 지을 때 현재의 자리로 옮긴 것이다. 지석묘는 탱석(撑石) 또는 고인돌이라 부르는 .. 달구벌 알기/중구 2012.03.20
중구지명유래 35 - 청국샘(淸國井(청국정)) 청국샘(淸國井(청국정)) 소재지 : 중구 남산3동 2419∼2 지금 성모당과 대건중학교를 건축할 당시 청국의 기술자를 고용하여 건축하였는데 청국인 모(毛)서방이 이 샘을 팠다고 한다. 어찌나 깊게 파던지 우리가 쓰던 두레박으로서는 물을 퍼 올리지 못하여 도르래를 이용하여 물을 퍼 올렸.. 달구벌 알기/중구 2012.03.20
중구지명유래 34 - 천황당못 천황당못 소재지 : 중구 대신1동 115번지 대구 서문시장 자리는 옛날에는 천황당(天皇堂)이란 못이 있던 곳으로 1920년께 못을 메우고 시장을 옮긴 것이다. 그전에도 대구에 큰 시장은 있었다. 조선시대 전국의 3대 시장이라면 강경(江景), 평양(平壤)과 더불어 대구에 시장을 말한다. 중구 .. 달구벌 알기/중구 2012.03.20
중구지명유래 33 - 조양회관(朝陽會館) 조양회관(朝陽會館) 소재지 : 중구 달성동 294 달성공원(達成公園) 입구 옛 원화(源花)여자고등학교 자리의 조양회관은 1920년대에 세워져 민족혼을 일깨워 주었던 건물이었으나 세월의 흐름과 함께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져 가고 있다. 동암(東庵) 徐東日(서동일)이 1922年 4月 1日 당시의 돈 .. 달구벌 알기/중구 2012.03.20
중구지명유래 32 - 자갈마당 자갈마당 소재지 : 중구 달성동 자갈마당은 지금부터 60년 전만 해도 저습지대로 쓸모없는 황무지였다고 한다. 그러나 6. 25후 대구에 점점 많은 사람이 모여들게 되자 이곳은 대구의 북쪽 관문의 구실을 한 교통 중심지가 되니 이 일대 전체가 넓은 장터로 변했다. 그래서 한때 넓은마당이.. 달구벌 알기/중구 2012.03.20
중구지명유래 31 - 잉어샘(청어샘) 잉어샘(청어샘) 소재지 : 달성공원(達成公園) 달성공원(達成公園)은 고대 달구벌 부족국가가 형성됐을 때 성터로 사용되던 곳이다. 대구지역의 다른 이름 "달구벌"도 여기서 나온 것이다. 달성 일대를 중심지로 삼았던 부족은 원래 달성군 화원면, 지금의 화원유원지 일대를 그 삶의 터전.. 달구벌 알기/중구 2012.03.19
중구지명유래 30 - 오포산(午砲山) 오포산(午砲山) 소재지 : 중구 봉산동 230 봉산동 제일여자중학교 뒷편 일대는 월견산(月見山), 자라바위 산 연구산(連龜山), 또는 오포산(午砲山)이라 불리었던 산이었다. 이 산은 봉우리가 동그란 산이었으나 6.25후 미군 통신대가 주둔하면서 봉우리를 밀어버려 현재와 같이 언덕 모양이 .. 달구벌 알기/중구 2012.03.19
중구지명유래 29 - 약령시(약전골목) 약령시(약전골목) 소재지 : 중구 남성동 일대 대구 약령시는 조선시대부터 전국적으로 이름난 국내 제일의 약재시장이었다. 조선왕조 때는 대구뿐 아니라 원주, 전주, 공주에도 약령시가 있었지만 가장 규모가 크고 거래량이 많은 곳이 대구약령시였다. 조선조 발기에는 약정시가 늘어 .. 달구벌 알기/중구 2012.03.19
중구지명유래 28 - 아미산(峨嵋山) 아미산(峨嵋山) 소재지 : 중구 남산2동 현재 대구동부교육지원청에서 옛 대한극장이 있는 곳까지의 언덕 전체를 아미산(峨嵋山)이라고 하였는데 그 이름의 기원은 다음과 같다. 안휘(安徽) 구화산(九華山)에는 지장보살(地藏菩薩), 사천(四川), 아미산(阿彌山)에는 보현보살(普賢菩薩), 절.. 달구벌 알기/중구 2012.03.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