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서구 서원,정각, 누각 16 - 효부비각(孝婦碑閣, 金海 金氏)| 효부비각(孝婦碑閣, 金海 金氏) 소재지 : 달서구 읍산동 173-2 이 비각은 金海(김해) 金氏(김씨) 持平公(지평공) 諱英贊(휘영찬)의 女息(여식)이고 金鍾道(김종도)의 妻(처)인 金氏(김씨)가 夫君(부군)이 오랫동안 外出不還(외출불환)하니 몸소 夫職(부직)을 겸하고 舅姑(구고)를 孝養(효양)하.. 달구벌 알기/달서구 2012.02.29
달서구 서원,정각, 누각 15 - 대곡영각(大谷影閣, 慶州 崔氏)| 대곡영각(大谷影閣, 慶州 崔氏) 소재지 : 달서구 대곡동 산 26 이 영각은 慶州(경주) 崔氏(최씨) 梅永軒(매영헌) 崔孝烈(최효열)의 齋舍(재사)인 著存齋(저존재) 바로 뒤 山(산) 기슭에 그의 후손들이 諡文昌公(시문창공) 孤雲(고운) 崔致遠先生(최치원선생)의 影幀(영정)을 모시기 위해 1969년.. 달구벌 알기/달서구 2012.02.29
달서구 서원,정각, 누각 14 - 인산정사(仁山精舍, 丹陽 禹氏)| 인산정사(仁山精舍, 丹陽 禹氏) 소재지 : 달서구 상인동 1022 禹成圭(우성규, 1829-1905)의 자는 聖錫(성석), 호는 景陶齋(경도재, 退溪先生(퇴계선생)을 景慕(경모)한다는 뜻으로) 이다. 景陶齋(경도재)는 丹陽(단양) 禹氏(우씨)의 入鄕祖(입향조)인 定略將軍(정략장군) 禮賓寺主簿訓練院習讀(.. 달구벌 알기/달서구 2012.02.29
달서구 서원,정각, 누각 13 - 추모재(追慕齋, 丹陽 禹氏)| 추모재(追慕齋, 丹陽 禹氏) 소재지 : 달서구 상인동 952 丹陽(단양) 禹氏(우씨) 入鄕祖(입향조)인 禹尊(우존)의 6世孫(세손)인 通訓大夫(통훈대부) 旅義縣監(여의현감) 汝度(여도), 자는 欽哉(흠재), 호는 晩侮堂(만모당)을 추모하기 위해 후손들이 1869년에 건립하고 景陶齋(경도재) 禹成圭(우.. 달구벌 알기/달서구 2012.02.29
달서구 서원,정각, 누각 12 - 첨모재(瞻慕齋, 密陽 孫氏)| 첨모재(瞻慕齋, 密陽 孫氏) 소재지 : 달서구 상인동 1212 이 재실은 密陽人(밀양인) 能彦(능언) 孫克龍(손극룡)의 齋舍(재사)이다. 그는 月城君(월성군) 諡文孝公(시문효공) 順(순)의 后(후)로 壬亂倡義(임란창의)로 贈通訓大夫(증통훈대부) 掌樂院(장락원)이 된 義春(의춘)의 子(자)이다. 行誼.. 달구벌 알기/달서구 2012.02.29
달서구 서원,정각, 누각 11 - 저존재(著存齋, 慶州 崔氏)| 저존재(著存齋, 慶州 崔氏) 소재지 : 달서구 대곡동 563-1 이 재실은 1930년에 慶州人(경주인) 梅永軒(매영헌) 崔孝烈(최효열)을 추모하기 위해 건립한 것이다. 238평의대지에 正寢(정침)은 西向(서향)으로 방 2칸, 대청 3칸, 측면 2칸, 골개와 팔작지붕이나 시멘트 기단 등을 보아 여러번 重修(.. 달구벌 알기/달서구 2012.02.29
달서구 서원,정각, 누각 10 - 원사재(遠思齋, 星山 金氏)| 원사재(遠思齋, 星山 金氏) 소재지 : 달서구 도원2동 648 이 건물은 星山(성산) 全氏(전씨)의 月軒(월헌) 護軍公(호군공)을 추모하기 위하여 1977년에 대지 80여평에 건평 14평, 방 2칸, 대청 1칸, 측면 2칸의 골재와 팔작지붕으로 건립한 舍齋(사재)인데 李白頭(이백두)가 記文(기문)을 撰(찬)하.. 달구벌 알기/달서구 2012.02.29
달서구 서원,정각, 누각 9 - 방해재(放海齋, 高靈 金氏)| 방해재(放海齋, 高靈 金氏) 소재지 : 달서구 도원1동 1117 이는 高靈 金氏(고령 김씨)의 爲先齋舍(위선재사)인데 180평대지에 건평 13평에 방 2칸, 대청 1칸의 팔작지붕이다. 마당에 있는 碑(비)는 이곳 面長(면장)의 頌德碑(송덕비)라 한다. 달구벌 알기/달서구 2012.02.29
달서구 서원,정각, 누각 8 - 도원재(桃源齋, 密陽 朴氏)| 도원재(桃源齋, 密陽 朴氏) 소재지 : 달서구 도원1동 1068 도원재는 密陽(밀양) 朴氏(박씨)의 入鄕祖(입향조)인 參奉(참봉) 朴敏豪(박민호)를 추모하기 위해 세운 것이다. 朴敏豪(박민호)는 孝行(효행)이 지극했으며 어릴적부터 聰明(총명)했다 한다. 萬歷年間(만력년간)에 큰 난리가 일어날 .. 달구벌 알기/달서구 2012.02.29
달서구 서원,정각, 누각 7 - 덕양재(德陽齋, 丹陽 禹氏) 덕양재(德陽齋, 丹陽 禹氏) 소재지 : 달서구 상인동 884-1 이 건물은 원래는 달성군 월배면 상인동 3구에 儒學者(유학자) 禹東주珪(우동규, 1847-1933)의 講學堂(강학당)으로 세워진 것인데 당시는 草家(초가)였던 것들 1946년 해방 이듬해에 원래의 장소곁에 기와로 重修(중수)하여 줄곧 내려오.. 달구벌 알기/달서구 2012.02.29